본문 바로가기

심리학18

웰빙 이론 셀리그먼은 학자들의 비판을 수용하면서 진정한 행복 이론이 완벽하지 않다고 보고 긍정심리학의 수정 보완 이론인 웰빙 이론을 발표하였다. 긍정심리학의 목표를 행복 측정에 의한 삶의 만족도에서 '플로리시(flourish: 번성, 번영)'로 바꿀 것을 제안하였다. 즉 셀리그먼이 주장한 새로운 긍정심리학의 주제는 '웰빙'이며, 목표는 '플로리시'를 높이는 것이 된다(우문식, 윤상운, 2011). 셀리그먼(2011)은 진정한 플로리시의 달성을 위한 새로운 웰빙 이론에서 긍정 정서(positive emotion), 몰입(engagement), 긍정적 관계(telationship), 의미(meaning), 성취(accomplishment)의 다섯 가지 핵심 요소와 모두의 기반이 되는 성격 강점(strengths)을 제.. 2023. 10. 25.
긍정심리학의 이해 -긍정심리학의 등장 긍정심리학은 심리학이라는 학문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인간이 가진 문제와 그 치료에만 중점을 두었다는 사실을 셀리그먼이 지각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Peterson, 2006). 제2차 세계대전 이전의 심리학은 인간의 의식과 행동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통해서 구현하고자 하는 세 가지 실천적 사명을 지니고 있었다. 첫째, 정신장애를 치료하는 것, 둘째, 탁월한 지능과 천재성을 발견하는 것, 셋째, 모든 사람이 좀 더 행복한 삶을 살도록 돕는 것이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전쟁에 참전한 퇴역군인이 전쟁 후유증으로 인한 다양한 심리적 장애를 격자, 많은 심리학자들은 정신적 피해를 치료하기 위해 부정적인 정서와 정신장애에만 중점을 두면서 심리학 초기의 실천적 사명 세.. 2023. 10. 23.
불안장애 우리들 대부분은 위협적인 상황이나 스트레스 상황에 직면하면 불안과 긴장을 느낀다. 그와 같은 느낌은 스트레스에 대한 정상적인 반응이다. 그러나 현실에 실제적인 위협이나 걱정거리가 없는데도 불안이 일어나고 그 때문에 일상의 생활 기능이 방해받는다면 불안장애로 볼 수 있다. (1) 일반화된 불안장애 뚜렷한 현실적인 이유 없이 삶의 여러 부분에 대해 비합리적이고 과도한 걱정을 하는 것을 말한다. 이 장애는 별다른 이유 없이 불안한 느낌이 지속해서 심하게 나타나며, 사소한 일도 지나치게 염려한다. 그 결과, 주의집중 곤란, 산만, 초조, 불면증 등과 함께 신체 증상을 호소한다. 근육통, 피로, 안절부절, 두통, 빈뇨, 어지럼증, 소화기 계통(위장 불쾌감, 설사 등)이나 심혈관계(심장 증상)의 다양한 신체 증상이.. 2023. 10. 16.
우울증 우울증은 성인의 경우에는 대부분 낙담, 침울감, 무기력을 호소하나 아동 및 청소년은 민감해지거나 까다로운 기분으로 나타나고 특히 청소년은 비행 행동으로 발전할 수도 있다. 실제로 비행 청소년들은 표면적으로 우울 증상을 보이지 않지만 상당수가 내면적으로는 우울 증상을 호소한다. 그래서 청소년기의 우울증을 가면성 우울증이라고도 한다. 반면에 노인들은 지남력장애나 기억장애를 수반하기 때문에 다른 장애와 구분이 어려울 수도 있다. 우울한 기분보다는 신체적 불편함을 강조하여 얼른 보기에는 다른 장애와 구분이 어려울 수도 있다. 우울증은 다음과 같은 정서, 인지, 신체, 동기적 증상들을 보인다. 정서- 우울증 상태에서는 우리 모두가 가끔씩 경험하는 일상생활에서 울적함 보다 훨씬 우울하고 슬픈 감정과 좌절감, 죄책감.. 2023. 10.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