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웰빙 이론

by 꼼지ro 2023. 10. 25.
반응형

<웰빙 이론>

 셀리그먼은 학자들의 비판을 수용하면서 진정한 행복 이론이 완벽하지 않다고 보고 긍정심리학의 수정 보완 이론인 웰빙 이론을 발표하였다. 긍정심리학의 목표를 행복 측정에 의한 삶의 만족도에서 '플로리시(flourish: 번성, 번영)'로 바꿀 것을 제안하였다. 즉 셀리그먼이 주장한 새로운 긍정심리학의 주제는 '웰빙'이며, 목표는 '플로리시'를 높이는 것이 된다(우문식, 윤상운, 2011). 셀리그먼(2011)은 진정한 플로리시의 달성을 위한 새로운 웰빙 이론에서 긍정 정서(positive emotion), 몰입(engagement), 긍정적 관계(telationship), 의미(meaning), 성취(accomplishment)의 다섯 가지 핵심 요소와 모두의 기반이 되는 성격 강점(strengths)을 제시하였으며, 핵심 요소의 첫 글자를 따 PERMAS라고 이름붙였다(우 분식, 2016). 진정한 플로리시 구현을 위한 웰빙 이론의 핵심 요소인 PERMAS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긍정 정서

긍정 정서는 우리가 느끼는 기쁨이나 희열, 따뜻함이나 자신감, 그리고 낙관성을 말한다. 이러한 긍정 정서들을 지속해서 끌어내는 삶이 즐거운 삶인 것이다 (Seligman, 2011). 긍정 정서가 높은 사람들은 행복감을 쉽게 느끼고, 효율적이며 적극적인 대인관계를 형성하여 원만한 사회생활을 하고, 성취를 통하여 자아에 대한 궁 정적인 성향을 보인다(김인자, 우문식, 2014). 프레드릭슨(2004)'긍정 정서 확장구축 이론'에 따르면 긍정 정서를 기쁨, 감사, 평안, 흥미, 희망(낙관성), 자부심, 재미, 영감, 경이, 사랑의 열 가지로 구분하면서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 특징을 제시하였다. 첫째, 긍정 정서를 자주 경험하는 사람은 새로운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행동한다. 둘째, 긍정 정서는 비선형적으로 나타난다. 셋째, 긍정 정서는 부정 정서를 상쇄시킨다. 넷째, 긍정 정서는 사고의 내용만을 바꾸는 것을 넘어 사고의 범위나 경계를 확장한다. 다섯째, 긍정 정서는 미래에 대한 관점을 변화시킨다. 여섯째, 긍정 정서는 고정된 것이 아니며 노력으로 얼마든지 변화될 수 있다.

(2) 몰입

몰입은 특별한 활동에 깊이 빠져들어 스스로 자각하지 못하고, 업무에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헌신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요소들을 지향하는 삶을 몰입하는 삶이라고 한다(김인자, 우문식, 2014). 몰입 상태에 있을 때 우리 신체의 각 기관과 모든 의식은 하나의 목표로 초점을 맞추고, 몰입 과정을 통해 우리는 즐거움과 자기 충족감을 맛보게 된다. 또한 일상생활에서 몰입을 경험하게 될 때 유능감을 갖게 되고 즐거움과 행복감을 경험하게 된다(이미혜, 2013), 몰입은 분명한 목표, 즉각적인 피드백, 능력과 과제난이도의 균형, 집중력 강화, 현재에 집중. 시간 감각 및 자의식 상실 등의 조건을 통해 쉽게 경험할 수 있다(권석만, 2008). 몰입은 생산적 몰입과 소모적 몰입으로 나뉘며 서로 다른 가치를 가지는데, 생산적 몰입은 개입이 자신의 발전적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몰입을 의미하고 몰입하는 동안에는 사고와 감정이 배제되고 고통이 따르기도 하지만 몰입 이후에는 충만감을 느끼게 된다. 반면 소모적 몰입은 순간의 즐거움에서 오는 몰입을 의미하며 물일의 순간이 지나면 행복이 아니라 허무감이나 불행감을 느끼게 하는 것이다(양선향, 2018).

(3) 긍정 관계

긍정 관계는 타인과 능동적으로 함께하는 것을 의미한다. 살면서 가장 기뻤던 순간이나 자신이 이룬 성취에 크게 자부심을 느꼈던 때를 돌이켜 보면, 대부분 누군가와 함께 있을 때였을 것이다. 이처럼 홀로 고립되지 않고 타인과 교류하며 함께하는 삶을 좋은 관계의 삶이라고 한다(Seligman, 2011). 디너와 셀리그먼(Diener & Seligman, 2002)은 가장 행복한 사람으로 밝혀진 상위 10%의 학생들을 집중 연구하였다. 그 결과, 가장 행복한 사람들은 보통 사람들이나 불행한 사람들과는 확연한 차이가 있었는데 그것이 바로 폭넓은 인간관계였다. 또한 하버드대학교에서 오랫동안 많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행복에 대한 연구 결과에서도 자신이 갖고 있는 재산이나 권력이 아니라 좋은 인간관계를 가진 사람이 더 행복을 느끼고 더 건강하다는 결과를 보였다(이미희, 2016).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긍정심리학자들은 행복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간관계를 제시하였다. 좋은 관계에서 오는 결속감은 인간의 기분을 좋게 하는 것 이상으로 에너지 수준을 확장, 구축하여 주변 세계를 향한 관심을 높이게 된다(김선형, 2017). 특히 가족, 친구와의 정서적 소통, 친밀감, 대화 등은 행복감을 증진하고 건강도 좋아지게 한다. 즉 자원봉사와 같은 친사회적 활동, 즉 타인을 위해 훌륭한 행동을 하는 것이 더 높은 수준의 삶의 만족감, 더 큰 행복과 관련이 있다(원강희, 2020).

(4) 의미와 목적

의미와 목적은 자신이 중요하다고 확신하는 어떤 일이나 공동체에 소속되며 그곳에서 현신하는 것에 기초를 두고 인생의 진정한 의미를 찾아가는 삶, 인생의 목적을 주 구하는 삶을 말한다(Seligman, 201), 삶의 의미를 찾는 관점은 개인의 직업, 주위 환경, 연령, 개인 성향과 성격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개인마다 삶에 대한 가치관이 다르기 때문에 어느 특정한 것이 의미 있는 삶이라고 단정 짓기는 어렵다(양선향). 2018). 그러나 삶의 의미를 찾고, 목적의식을 가지고 살아가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의 삶은 큰 차이가 있다(조은숙, 김수완, 2016), 삶의 의미를 느끼는 일은 자신의 삶을 돌아볼 수 있는 여유를 가지고 자신을 성찰해 보는 것, 자신의 강점을 사용해 타인에게 도움을 주거나, 특정 기관이나 단체에 기여하고 헌신하는 것일 수도 있다(양선향, 2018). 이러한 삶의 의미는 삶의 만족, 행복, 성실함, 자존감, 적극적인 참여 및 삶에 대한 전반적인 긍정적 태도와 높은 관련이 있다(Debats, 1995).

(5) 성취

성취는 자신의 업적에 집중하고 전념할 때 획득될 수 있는 결과물이다. 사람들은 오직 무언가를 이루거나 다른 사람들을 이기기 위해서가 아니라 성공이나 성취, 무언가를 정복하는 과정 자체가 좋아서 몰두하기도 한다. 이는 일시적인 상태로는 업적이 되며, 이것이 확장되면 성취가 되는 것이다. 성취를 위해 자신의 업적에 집중하고 전념하는 삶이 성취하는 삶이다(Seligman, 2011). 이처럼 행복은 자기실현을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나오며, 자기실현은 자신의 잠재력을 실현하는 것에서부터 온다(양선향, 2018). 성취는 구체적인 목표가 있을 때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목표는 사회적 명성, , 외모, 권력 등의 외재적 목표와 본질적으로 만족감을 느끼게 하는 것, 새로운 것을 배우고 느끼는 것, 자신의 관심과 가치, 잠재력을 실현하는 것 등의 내재적 목표로 나뉜다(Vansteenkiste, Soenens & Duriez, 2008), 내재적 목표의 성취는 삶의 만족뿐 아니라 자기 자신에 대한 만족도를 증가시키며 긍정 정서 또한 높일 수 있다 (Baumgardner & Crothers, 2009). 성취를 경험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는 노력(effort), 자제력(self-control), 끈기 있는 열정(grit) 등이 있다(황윤정, 2019).

(6) 성격 강점

성격 강점은 다섯 가지 요소의 기반이며, 개인의 사고, 정서 및 행동에 반영된 긍정적인 행동양식이나 탁월한 성품과 덕목이다(권석만, 2008), 성격 강점은 인간의 좋은 중성과 도덕적 개념을 갖추고 있어서 인성을 함양하는 데 유용한 도구이기도 하다(마재훈,2019). 따라서 자신의 대표 강점이 무엇인지 이야기를 나누는 과정을 통해 삶의 만족도가 증진되며(Lopez & Sayder, 2008), 개인이 가지고 있는 성격 강점을 충분히 발현함으로써 진정한 행복을 누릴 수 있다(Seligman, 2002), 또한 모든 사람은 나름대로 다양한 긍정적인 강점과 자질을 지니고 있으며, 그러한 특징적인 강점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때 행복감을 느끼게 된다.

 

출처-인간심리의 이해

반응형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긍정심리학의 이해  (0) 2023.10.23
불안장애  (0) 2023.10.16
우울증  (0) 2023.10.09
심리 장애의 종류  (0) 2023.10.03
인지심리학과 노엄 촘스키  (0) 2023.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