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18 심리 장애의 종류 조현병은 사고, 정서, 지각, 행동 등의 여러 측면에서의 사고 과정과 혼란이 특징인 주요 정신병 중 하나다. 조현병의 주요 특징은 다음에 제시되어 있는데 조현병이라고 해서 제시된 증상들을 모두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고 그 정도와 특징은 다르게 나타나기도 한다. 사고의 혼란- 사고 과정과 사고 내용의 장애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외부세계에 대해 객관적이고 현실에 입각한 판단을 내리고 사고하는 데 장애를 뚜렷이 보인다, 이러한 사고 과정 장애는 언어표현에서 지리멸렬하거나 엉뚱한 방향으로 빗나가는 식으로 나타나서 정상적인 대화가 어려울 때가 많다. 사고 내용 장애의 대표적인 것이 망상이다. 망상이란 사실이 아닌데도 사실이라고 믿는 왜곡된 믿음을 말하며, 그 내용은 피해망상, 관계망상, 과대망상 등 다양한데, .. 2023. 10. 3. 인지심리학과 노엄 촘스키 촘스키의 언어학에 대한 작품은 현대 철학에 대한 심오한 함축을 가지고 있었다. 촘스키에게 있어 언어학이란 인지심리학의 가지였으며, 언어학에서의 진정한 통찰은 정신적인 진행과 인간 본성의 양상에 대한 부수적인 이해를 함축하고 있다. 촘스키 언어학은 ‘변형생성문법의 론’에서 시작하여, 1955년 정리한 ‘언어학 이론의 논리적 구조(Logical Structure of Linguistic Theory)’에서 절정을 이루었다. 구조주의 언어학에 도전했으며, 변형생성문법의 이론을 소개하였다. 1960년대부터 촘스키는 통사적 지식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타고난 것이라고 주장해 왔으며, 이는 아이들이 모국어의 특정 언어만을 배우면 된다는 것을 암시한다. 그는 인간의 언어 습득에 관한 관찰에 근거해, 「자극의 빈곤」에 대.. 2023. 9. 24. 깨진 유리창 이론 깨진 유리창 이론은 미국의 범죄학자인 제임스 윌슨과 조지 켈링이 1982년 3월에 공동 발표한 깨진 유리창(영어: Fixing Broken Windows: Restoring Order and Reducing Crime in Our Communities)이라는 글에 처음으로 소개된 사회 무질서에 관한 이론이다. 깨진 유리창 하나를 방치해 두면, 그 지점을 중심으로 범죄가 확산하기 시작한다는 이론으로, 사소한 무질서를 방치하면 큰 문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깨진 유리창 이론의 이런 경향은 간단한 실험을 통해 알 수 있다. 구석진 골목에 2대의 차량 모두 보닛을 열어둔 채 주차해 두고, 차 한 대에만 앞 유리창을 깨져있도록 차이를 두고 일주일을 관찰한 결과, 보닛만 열어둔 멀쩡한 차량은.. 2023. 9. 20. 현대 심리학 구조주의에서 인지심리학에 이르기까지 과학으로서의 심리학 발달은 인간의 다양한 문제를 조망하는 현대 심리학의 기초가 되었다. 현대 심리학의 관점 오늘날 심리학자들을 실험 연구실, 병원, 산업체 등 폭넓은 장면에서 뇌 과학에서 사회, 문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에 관해 과학자로서의 사회적 책무를 수행하고 있다. 각자의 임무와 환경은 다르지만 이들은 인간의 마음과 행동을 기술 설명한다는 공통적인 목표 성취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대 심리학의 주요 이론적 관점에 의하면 인간은 세포, 원자, 분자 같은 신경 체계 등의 신체 기관으로 이루어져 있는 미시적 존재이자 가족, 학교, 사회, 문화 같은 사회문화적 체계의 일부인 거시적 존재다. 이로써 심리학자들은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문화적 접근을 통합하고 각 차원의 한.. 2023. 9. 14.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