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18

임상심리학 임상 심리학의 시작은 1896년 L.위트머가 펜실베이니아대학에 몸이 불편한 아동을 위해 '심리클리닉'을 개설하고, 1909년 W.힐리가 소외되는 청소년들의 개진을 위해 마련한 시설을 시작으로 한다. 그 후 1930년대에 미국 전역에 정신분석학에 대해 사상이 뿌리내린 것과 컬럼비아대학에 정식으로 임상 심리학 관련 학과와 양성 코스가 생긴 것 등도 발전의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임상 심리학의 발전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한 것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군인들이 다양한 심리적, 정신적 스트레스에 시달리면서 이들에 대한 치료 및 참전이 가능한 군인들을 선별하기 위한 진단검사의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임상 심리학이라는 학문이 본격적으로 구도를 잡고 성립되었다. 인간의 심리적 문제의 진단과 치료를 담당하며 이때 진단을.. 2023. 8. 29.
정신분석학에 대한 비판 정신과 의사인 E. 풀러 토리는 정신분석의 이론이 과학적인 근거 면에서 전통 치료사들보다 나을 것이 없다는 데 동의하였다. 스위스의 심리학자인 앨리스 밀러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포함한 프로이트의 충동론을 면밀히 조사하고는 타당성을 거부하였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그녀와 제프리 마송에 따르면 아이를 성인의 폭력적인 성적 태도의 관점에서 비난하는 것이다. 심리학자 조엘 쿠퍼스미드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타당성을 그 본질과 기원적인 면에서 조사하고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실존을 증명할 단서가 거의 없다고 결론지었다. 프로이트와 정신 분석가들은 비판을 받아왔다. 정신분석에 대한 비판과 옹호 사이의 갈등은 너무 격렬하게 진행되어 이후에 프로이트 전쟁이라 불리기도 한다. 과학철학자인 칼 포퍼는 정신분석이 의사과.. 2023. 8. 28.
정신분석학 정신분석학은 아동기 경험에 대한 무의식적 사고 과정과 정서 반응이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을 강조하였다.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만든 심리학의 한 종류로, 정신의학에서 치료 방법으로 사용된다. 처음에 프로이트는 지형학적 모델로 무의식의 구조를 설명했다. 우리가 인식하는 정신의 바깥-땅 위의 표면과도 같은-에 의식이 존재하고, 그 밑에는 지금 당장 인식하고 있지는 않지만 언제든 다시 생각을 꺼내올 수 있는 전의식-땅 밑의 지표-이 존재한다. 전의식에서 한층 더 깊이 경계를 넘어 들어가면 의식에서 억압된 무의식이 존재한다는 것이 지형학적 모델의 요지라 할 수 있다. 전의식은 넓게는 무의식에 포함되는 개념의 하나이다. 전의식은 넓게는 무의식에 포함되는 개념의 하나이다. 정신분석학은 인간의 행동을 크게 내적 욕구.. 2023. 8. 25.
여러 가지 심리학 구조주의는 화학자가 화학 성분을 분류하는 주기율표를 개발하듯이, 심리학자인 에드워드 브래드퍼드 티치너는 마음 구조의 요소를 분류하고 이해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 그는 사람들에게 자기반성적인 내성을 하도록 요구하면서 예컨대 장미를 보거나 메트로놈 소리를 듣거나 향기를 맡거나 어떤 맛을 볼 때 자신의 경험 요소를 보고하도록 훈련시켰다. 이들의 즉각적인 감각, 느낌, 심상은 어떤 것인가? 그리고 어떻게 서로 관련되었을까? 불행하게도 내성이라는 구조주의 기법은 다분히 신뢰할 수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내성은 똑똑하고 말을 잘하는 사람을 요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사람마다 그리고 경험마다 달랐다. 내성법이 시들해지자 구조주의도 함께 쇠락의 길을 걸었다. 단순 요소들을 가지고 마음의 구조를 구성해보고자 시도하는.. 2023. 8. 25.
반응형